이모저모

운전 시작하기~

붕붕이2 2015. 12. 18. 10:52

1. 차에 오르기 전 확인


차에 오르기 전 차의 전후에 장애물과 주변에 놀고 있는 어린이가 없는지 확인한다.
또 타이어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공기압부족으로 눌리지 않았는지, 타이어의 옆면에 상처가 없는지 살펴야 한다. 
자동차의 고장으로 발생하는 사고의 80% 이상이 타이어펑크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타이어의 점검은 필수이다.

 


2. 시동걸 때 주의사항


좌석에 앉으면 좌석과 후사경의 조정상태를 살핀 후에 시동을 건다.
시동을 걸 때는 기어상태를 확인하여야 하는데 기어변속차량은 기어가 중립에, 자동변속차량의 경우는 P(주차)의 위치에 있어야 한다. 그리고 시동을 걸때는 항상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시동을 걸어야 한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운전 중 휴대전화를 이용하려면 출발 전에 핸드프리나 이어폰을 장착하고 난 후 안전띠를 착용하며 동승자가 있을 때는 안전띠 착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한다.

 

 


3. 출발하기 전 확인


출발하기 직전에 주차 브레이크를 풀고 계기판을 확인하는 자세를 갖도록 한다.
연료, 엔진오일 들의 상태를 살펴야 하며 차문이 모두 닫혔는가와 주차브레이크 경고표시가 켜지지 않았는지 확인한다.
주차브레이크가 완전히 풀리지 않은 채로 출발하면 브리이크장치에 열이 발생하면서 브레이크가 갑자기 듣지 않아 사고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확인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출발은 좌우를 살피면서 서서히 움직이는 습관이 필요한데 내차가 움직일 것을 타인은 예축하지 못하기 때문에 갑자기 출발 하는 것은 위험하다.


 


4. 주차방법


주차를 할 때는 최대한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다른 차가 빠져나갈 공간을 막지 않도록 주의하며 다른 차의 운전자가 차 문을 열고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주어야 한다. 또한 부득이 2중주차를 해야 할 경우 노면이 평평한 곡인지 확인하고 주차브레이크를 풀고 기어를 중립에 두도록 하며 비상시를 대비해 연락처를 남겨놓아야 한다.

 언덕길에 주차를 하고자 할 때는 차가 굴러 내릴 수 있으므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우선 주차브레이크를 단단히 당기고 기어는 자동변속차량은 P에 두어야 하며 수동변속차량은 1단(언덕 위쪽을 향해 주차할 떄) 또는 후진(언덕 아래쪽을 향할 때)에 두도록 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풀릴 것에 대비하여야 한다.

핸들은 차가 굴러 내리더라도 담이나 벽에 걸려서 정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동려놓아야하며 도로의 겅사도가 큰 경우에는 돌이나 나무토막 등을 바퀴 밑에 고이도록 한다.



 

5. 후진하는 법


후진은 사각지대가 넓기 때문에 운전자가 확인하지 못한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동승자가 있을 때에는 동승자가 내려서 유도를 해주도록 하고 동숭자가 없을 때에는 최대한 서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후사경을 보면서 후진하는 것보다는 그림과 같이 고개를 돌려서 후방을 보면서 후진하는 것이 안전하다. 그러나 핸들을 좌우로 돌린 상태에서 후진하는 경우는 그림과 같이 후방을 보면서 전방의 좌우와 후사경을 번갈아 확인하여야 한다.

 

 


6. 도로의 적응


도로주행시험에 합격하였다하더라도 운전기능이 숙달될 때까지 비교적 위험이 적은 곳에서 충분한 경험을 쌓도록 한다.
경험이 부족한 상태에서 도로에 나가면 긴장을 하게 되는데 이때 핸들이나 브레이크 폐달 등의 조작이 숙달되어 있지 않으면 어이없는 실수를 저지를 수 있다.
또 야간운전이나 빗길운전은 시야확보가 어려워 더더욱 당황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적응이 충분하다고 판단 될 때 단계적으로 시도해 보도록 한다. 고속도로는 자칫 작은 실수가 엄청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곳이므로 속도에 대한 적응이 덜 된 상태에서 무리한 시도를 삼가야 한다.